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88

[책추천] 따뜻한 이과생이 남긴 조금은 특별한 에세이 :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리뷰 와 진짜 오랜만이네요사실 책을 그동안 계속 읽긴 했지만, 리뷰는 잘 안했습니다. 독후감도 가끔 쓰고, 독서모임도 가졌지만 블로그에 공개적으로 글을 쓰는 건 뭐랄까 생각보다 공수가 더 걸리더라고요.대충 읽고 넘길 확률이 더 크다는 걸 알지만, 그래도 내 글이 누군가의 뇌속에 꽂힐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신중해집니다. 어쨌거나 거의 책리뷰를 일년여만에 쓰는데, 너무나도 좋은 글이라 한 번 리뷰를 적어보려고 합니다.물론 두서가 없이 쓰는 게 저의 글의 특징인데, 이번만큼은 그래도 기승전결 딱 나눠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자 심채경 박사  저자인 심채경 박사님은 천문학자입니다. 일단 검색해서 나오는 정보를 적어보자면, 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셨고,  2022년 12월 ~ 2023년 1월,.. 2025. 1. 22.
우체국에서 카카오페이 결제가 가능할까? 때는 제가 우편을 접수할 게 있어.. 우체국으로 서류를 들고 가는 길이었습니다..그런데 그만 저는 쎄함을 느꼈고 지갑을 두고왔단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ㅠㅠ 그런데 일단 가보자 요즘 대페이의 시대가 아닌가 싶어서창구에 가서 여쭤봤습니다..!  "혹시 카카오페이 결제 되나요?" "네! 결제 가능합니다." 저는 정말 미친듯이 환호했습니다.. 그런데 "근데 서류나 박스는 카드나 현금으로 결제하셔야 해요." 그렇습니다. 저는 서류가 없는 인간이었습니다.. 150원 때문에 결국 현금을 뽑으러 갔다는 슬픈 이야기입니다. 결론우체국에서 카카오페이 가능합니다 BUT, 서류나 박스는 현금/카드 결제만 카카오페이 x 2025. 1. 21.
CES란 무엇인가? 1. CES 개요1.1 CES란 무엇인가?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소비자 가전 및 기술 박람회 중 하나로,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매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며, 기술 기업, 스타트업, 미디어, 투자자들이 모여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고 네트워킹합니다.1.2 CES의 중요성과 역할CES는 단순한 전시회 그 이상으로, 미래 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업계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플랫폼입니다. 기업은 CES를 통해 신제품을 공개하며, 시장 진입 전략을 구체화할 기회를 얻습니다. 또한, 글로벌 비즈니스 협력과 트렌드 분석을 위한 중요한 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1.3 CES를 주최하는 단체 (Consumer Technology .. 2025. 1. 20.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우주의 신비를 푸는 창 1. 서론1.1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개요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은 NASA,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이 공동 개발한 최첨단 우주망원경으로,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2021년 12월 25일 발사된 JWST는 허블 우주망원경의 후속으로, 적외선 관측 기술을 활용하여 우주의 초기 모습을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2 개발 목적 및 중요성JWST의 주된 목적은 초기 우주에서 형성된 최초의 별과 은하를 관찰하고, 별과 행성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며, 외계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우주론, 천문학, 행성 과학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1.3 허블 우주망원경과의 차이점J.. 2025. 1. 19.
RE100이란? 1. RE100 개요1.1 RE100이란?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전 세계 기업들이 자신의 사업 운영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선언하고 이행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2014년 국제 비영리단체인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과 탄소 공개 프로젝트(CDP)가 공동 설립했습니다.1.2 RE100의 목적과 필요성RE100의 주요 목적은 재생 가능 에너지의 글로벌 수요를 확대하고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 중립(Net Zero)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합니다.1.3 RE100의 핵심 원칙RE100은 재.. 2025. 1. 17.
코픽스(COFIX)란? 1.1 정의코픽스(COFIX, Cost of Funds Index)는 국내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소요되는 평균 비용을 기반으로 산출된 지표입니다. 주로 대출 상품의 기준 금리로 사용되며, 금융기관의 조달 비용을 투명하게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2 도입 배경기존 대출 금리 체계는 은행별로 다르게 운영되었고, 조달 비용을 투명하게 알기 어려운 구조였습니다. 이를 개선하고자 2010년 2월 도입된 코픽스는 대출 금리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1.3 주요 특징코픽스는 은행들의 자금 조달 비용을 실제로 반영하기 때문에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조정됩니다. 이를 통해 대출 금리의 변동성을 줄이고, 고객이 합리적으로 대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1.4 일반 금리와의 차이.. 2025.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