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DE41

NAT와 DHCP: IPv4 주소 효율성을 위한 핵심 기술 IPv4 주소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라는 두 가지 중요한 기술이 도입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기술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IPv4 주소의 효율성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의 목적: NAT는 IPv4 주소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입니다. 사설 네트워크의 여러 장치가 하나의 공용 IP 주소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NAT의 작동 방식: NAT는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전달할 때 IP 주소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정이나 회사 네.. 2024. 5. 19.
AWS 환경에서의 오토스케일링과 헬스체크: 문제와 해결 방안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가용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트래픽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는 자동 확장 기능인 오토스케일링과 ALB(Application Load Balancer)에 의한 헬스체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기능이 어떻게 연동되어 작동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오토스케일링의 역할과 중요성오토스케일링은 서버의 부하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인스턴스 수를 조절합니다. 트래픽이 많을 때는 서버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추가하여 부하를 분산시키고, 트래픽이 감소하면 인스턴스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고 시스템의 오버로드를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헬스체크와 그 중요성A.. 2024. 5. 19.
네트워크 PDU(Protocol Data Unit)은 무엇일까? PDU(Protocol Data Unit)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의 단위를 의미합니다. 네트워크의 각 계층은 각기 다른 유형의 PDU를 사용합니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에서는 각 계층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특정 형식의 PDU를 다음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여기서 각 계층의 PDU는 다음과 같습니다: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여기서의 PDU는 비트(bit) 또는 신호입니다. 데이터를 전기적, 광학적,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이 계층의 PDU는 프레임(frame)입니다. 프레임은 네트워크 어드레스, 오류 검출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합니다.네트워크 계층 (Ne.. 2024. 5. 12.
[네트워크]L2,L3,L4,L7 이게 다 뭐야...(feat. 로드밸런서) L2, L3, L4, L7은 각각 네트워킹 계층을 지칭하는 용어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설명하는 OSI 모델의 일부입니다. 이 용어들은 각 계층이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해 주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계층을 비유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L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L2는 마치 우리가 사는 아파트 단지와 같습니다. 아파트 단지 내에서는 모든 사람이 정확한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하고, 각 집의 주소를 통해 편지나 소포를 정확히 배달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킹에서는 이 주소가 MAC 주소입니다. L2에서는 이러한 MAC 주소를 사용하여 같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끼리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L3 (Network Layer, 네트.. 2024. 5. 12.
HAVING vs WHERE HAVING 절과 WHERE 절은 SQL에서 데이터를 쿼리하는 방법에 있어 중요한 구문입니다. 둘 다 특정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 사용되지만, 사용되는 시점과 적용되는 데이터의 범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WHERE 절 WHERE 절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선택하기 전에 행(row) 수준에서 조건을 적용합니다. 즉, SELECT 문에서 지정된 컬럼들에 대해 데이터를 가져오기 전에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선택됩니다. WHERE 절은 그룹 함수(집계 함수)와 함께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SUM(), AVG(), COUNT() 등의 함수에 직접 조건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특정 행이 쿼리의 결과로 포함될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HAVING 절 HAVING 절은 그룹 함수를.. 2024. 3. 25.
NAS vs CDN NAS(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와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배포하는 방법이지만,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를 집안의 중앙 파일 서랍장으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사용자)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든지 이 서랍장에 접근할 수 있어서 중요 문서나 미디어 파일 같은 것들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지 꺼내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한 곳에 중앙집중식으로 저장되므로, 관리가 편리하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외부에서의 접근 속도는 내부 네트워크의 품질과 인터넷 연결에 크게 의존합니다.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상의 여러 사용자가 중앙에서.. 2024. 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