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DE41

[CS지식] 자료구조 : Array vs Linked list 배열 (Array 장점: 인덱스로의 접근: O(1)의 시간 복잡도로 원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효율성: 배열은 메모리의 연속적인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공간 낭비가 적습니다. 또한, 연결 리스트에 비해 오버헤드가 적습니다. 캐시 지역성: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CPU 캐시의 효율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단점: 크기 고정: 초기에 배열의 크기를 정하면, 그 크기를 변경하기 어렵습니다. 삽입/삭제: 중간에 원소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경우 O(n)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메모리 할당: 큰 배열을 한 번에 메모리에 할당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장점: 동적 크기: 연결 리스트는 필요에 따라 크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중간 삽입/삭제: 연.. 2023. 11. 1.
[서버] 디비와 서버 :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분리와 통신 최적화 저는 늘 궁금했습니다..! 일하다보면 늘 서버 접속정보와 디비 접속정보의 아이피가 다르거나, 같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저는 이 원리가 너무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조사하면서 알게된 것들을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웹 서버(Server)와 데이터베이스(DB)가 동일한 환경(같은 IP)에서 동작 만약에 서버 아이피와 데이터베이스 연결 아이피가 모두 같다면 어떨까요? 이것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의 환경에서 여러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우를 '모노리식 구조'라고도 부릅니다. 초기 설정이나 관리가 간단한 편이지만, 확장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웹 서버(Server)와 데이터베이스(DB)가 분리 두 서버는 각각 다른 물리적 혹은 가상의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 2023. 10. 31.
[AWS] aws에서 람다는 무엇일까 오늘 팀장님께서 aws 람다를 아냐고 하셔서..모른다고 하며 열심히 하겠다고 했으니 끄적여봅니다! AWS Lambda는 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AWS Lambda는 서버리스 컴퓨팅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개발자가 코드를 실행하고 스케일링과 관리를 AWS에 맡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AWS Lambda의 주요 특징과 사용 사례 이벤트 기반 실행: AWS Lambda 함수는 특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실행됩니다. 예를 들어, 파일이 S3 버킷에 업로드되면 Lambda 함수가 해당 파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AWS 서비스 및 사용자 정의 이벤트 소스에서 Lambda 함수를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서버리스 아키텍처: AWS Lamb.. 2023. 10. 11.
[국비후기] 비전공자로서 국비 수업 두 번 듣고 취직한 후기 (초고 : 22.08.14, 업데이트: 23.10.19) 안녕하세요 스큅 개발자입니다. 국비 지원 두 번 수강한 후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어떻게 시작할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 검색을 하면서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것부터 쓰겠습니다. 이후에 천천히 추가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저는 개발 수업 두 번을 일 년간 듣고, 현재 si에서 신입으로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개발자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면 앞으로 좋은 질과 많은 양의 내용을 계속 추가로 업뎃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쁘면 밑줄만 읽으셔도 무방할 거 같습니다. 국비만 들으면 개발자가 될 수 있나요? 👌 네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네카쿠라베 가는 개발자는 되기 진짜 힘듭니다. 단순히 취업이 목적이라면 상관없습니다. 6개월 지나도록 변수 선언도 못.. 2023. 10. 9.
[아키텍처] 웹훅(Webhook)이란 무엇일까 웹훅(Webhook)은 한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예를 들면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될 때, 사전에 정의된 URL로 HTTP POST 요청을 보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간단한 예로, 깃허브(GitHub)에서는 특정 리포지토리에 커밋이나 풀 리퀘스트가 발생할 때 웹훅을 설정하여 그 정보를 다른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웹훅을 활용하면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자동화 및 통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웹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시간성: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 2023. 10. 5.
Oracle 설치 2 아까 설치해둔 두가지 중에 developer 파일을 누릅니다. sqldeveloper.exe를 눌러 실행합니다. 이게 실행이 됩니다. 그러고 좌측 상단에 +표시를 클릭합니다. 저희는 지금 처음하는 거니까 새로 만들어줘야 해서요 이런 창이 뜰겁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에 아까 만들어둔 hr계정을 이용합니다. name은 아무거나 지으셔도 될 거 같네요 저는 oracle-hr이라고 지었습니다. 테스트를 눌러 상태에 성공이라는 메세지가 뜨면 잘 된 겁니다! 그리고 접속을 누릅니다. 좌측에 oracle-hr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sql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2023.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