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와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배포하는 방법이지만,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를 집안의 중앙 파일 서랍장으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사용자)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든지 이 서랍장에 접근할 수 있어서 중요 문서나 미디어 파일 같은 것들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지 꺼내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한 곳에 중앙집중식으로 저장되므로, 관리가 편리하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외부에서의 접근 속도는 내부 네트워크의 품질과 인터넷 연결에 크게 의존합니다.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상의 여러 사용자가 중앙에서 데이터에 접근하고, 파일을 공유하며, 백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앙 집중식 데이터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공동 작업을 하는 직원들이 서로 파일을 공유하고 백업하는 데 사용됩니다.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은 전 세계 곳곳에 있는 수많은 편의점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각 편의점은 다양한 위치에 있으며, 지역 고객들이 자주 구매하는 상품들을 보관하고 있어요. 웹 콘텐츠가 이 상품들이라고 할 때,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면 가장 가까운 편의점(즉, CDN의 노드)에서 콘텐츠를 제공받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빠른 속도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고, 원본 서버에 가는 부하도 줄일 수 있습니다. CDN은 특히 글로벌 사용자에게 웹사이트의 정적 콘텐츠(이미지, 비디오, 스타일시트 등)를 빠르게 배포하는 데 적합합니다.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빠르게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네트워크는 사용자에게 더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웹 페이지 로딩 시간을 줄이고,
트래픽 병목 현상을 방지합니다.
대규모 웹사이트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콘텐츠 배포를 가능하게 합니다.
'CODE > Code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L2,L3,L4,L7 이게 다 뭐야...(feat. 로드밸런서) (0) | 2024.05.12 |
---|---|
HAVING vs WHERE (0) | 2024.03.25 |
[java] jdk와 jvm (0) | 2024.02.09 |
톰캣 vs. 레진: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비교 (0) | 2024.02.06 |
AWS 파이프라인: 단순화된 개발과 배포 (0) | 2024.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