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종합주가지수나 선물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였을 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히기 위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이러한 서킷 브레이커는 투자자들이 패닉으로 인한 불합리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시장 참여자들이 상황을 평가하고 정보를 소화할 시간을 제공합니다. 서킷 브레이커의 작동 방식은 각 나라의 주식 거래소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래 예시에서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종류
- 가격 기반 서킷 브레이커: 특정 주식이나 지수의 가격이 일정 비율만큼 변동하면 거래가 일시 중지됩니다.
- 시간 기반 서킷 브레이커: 특정 시간 동안의 가격 변동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거래가 일시 중지됩니다.
예시
- 지수가 8%, 15%, 20% 하락 할 경우 서킷브레이커가 단계적으로 발동합니다.
- 3단계가 발동하는 당일에는 거래가 정지됩니다.
- 최근에는 2020년 3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한 적이 있습니다.
반응형
'J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빅맥지수는 무엇일까? (0) | 2023.09.16 |
---|---|
[교양]빠르기말? 나타냄말 셈여림표 이것들은 도대체 뭘까? (0) | 2023.09.12 |
[경제] 리쇼어링의 정의와 사례 (0) | 2023.09.10 |
[경제] 빅테크의 독점을 막아라 - 빅테크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9.10 |
[백업]옴부즈맨제도(Ombudsman system)은 무엇일까요? (어원, 시초, 역할) (0) | 2023.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