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플레이션은 다들 잘 알고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의 종류가 한 가지가 아니라는 거 아셨습니까? 이번 시간에는 인플레이션의 종류를 간단하게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정의
들어가기 전 인플레이션의 정리를 간단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가 떨어져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물가상승 요인으로는 원화가치 하락, 가계 저축 감소, 정부의 지출 증가, 유가상승, 통화량 증가 등이 있습니다.
대체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소득의 재분배를 가져오며, 저축의 감소를 초래하여 근로의욕 및 투자활동이 위축됩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모두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 경제성장을 방해합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 소비 억제, 저축 장려, 통화량 감축, 금리 인상, 대출 억제 등의 정책이 행해집니다.
종류
에코플레이션(ecoflation) | 환경 요인으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 스크루(screw) 쥐어짠다의 의미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물가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등으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현상 |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 | 수산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수산물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 |
아이언플레이션(ironflation) | 철강재(아이언)의 가격 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 |
택스플레이션(taxflation) | 고율의 과세에 의한 인플레이션 |
초인플레이션(hyperinflation) | 단기간에 수십 배로 물가가 양등하는 격심한 인플레이션 |
차이나플레이션(Chinaflation) | 중국이 원인이 된 인플레이션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경제침체(stagnation)하의 물가상승 |
슬럼플레이션(slumplation) | 불황기의 인플레이션 |
애그플레이션(agflation) | 농산물의 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
붐플레이션(boomflation) | 호황기에 오는 인플레이션 |
임금 인플레이션(wage push inflation) | 임금 상승으로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해 수요가 늘어나 물가가 오르는 현상 |
재정 인플레이션(public finance inflation) | 적자재정이 원이 돼 발생한 인플레이션 |
기대 인플레이션(expected inflation) | 경제주체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상승 |
병목 인플레이션(bottlenect inflation) | 생산속도가 수요의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발생하는 물가상승 |
코어 인플레이션(core inflation) |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물가지수, 근원 인플레이션, 핵심 인플레이션이라고 함 |
악성 인플레이션(galloping inflation) | 연간 10%내외의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는 현상. 주행성, 만성ㅈ넉, 초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함 / 물가상승의 속도가 완만한 크리핑 인플레이션 마일드 인플레션과 대조됨 |
비용상승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 | 금리, 임금, 원자재 가격의 인상에 따라 여러 생산비용이 상승해 물가가 오르는 현상 |
초과수요 인플레이션(demand pull inflation) | 경기호황 시 총수요가 총공급을 웃돌아 생기는 물가상승 |
환 인플레이션(exchange inflation) | 환시세의 폭락으로 국내 화폐가치는 하락하고 물가는 급등하는 현상 |
반응형
'J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팁]유데미 인강 할인받는법 (자꾸 가격이 바뀌는 이유) (0) | 2023.07.17 |
---|---|
[달리기]달리기를 할 때 어떤 영양소를 고려해야 할까? (1) | 2023.07.14 |
[경제] GDP 국내총생산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3.07.05 |
스타벅스 와이파이가 중간에 끊긴다면? (2가지 방법 소개) (0) | 2023.07.04 |
[경제] 부가가치세와 간접세의 정의, 특징, 종류 과연 부가가치세와 간접세란 무엇일까요? (0) | 2023.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