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생활정보

[바이브 코딩 2탄] AI 코딩 성공률 50% 높이는 '황금 프롬프트 공식' (요구사항 추출 2단계 기술)

by 솔리닉__ 2025. 11. 25.
반응형

초행길에 이정표를 세우는 대화법

지난 1탄에서 AI에게 선택지와 배경지식을 줘야 한다는 핵심을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2탄에서는 초보자들이 가장 막막해하는 질문, 도대체 뭘 입력해야 해?에 대한 구체적인 프롬프트 공식과 실전 기술을 공개합니다.

1단계: AI에게 '필요 기능' 리스트를 뽑아내라 (요구사항 추출)

AI에게 영화 예매 사이트 만들고 싶어라고 던지는 것은 '재료 없이 밥을 차리라'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대신, 이렇게 먼저 물어보세요.

💡 프롬프트 예시 1: 핵심 질문

"내가 영화 예매 사이트를 만들고 싶은데, 사용자가 반드시 이용할 핵심 기능 목록을 10가지 이내로 정리해 줘. 각 기능에 대한 간단한 설명도 곁들여줘."

이 질문의 목표는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AI가 주는 답변을 통해 불투명했던 초행길에 이정표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2단계: '교차 검증'과 '배경지식'으로 질문을 정교화하라

AI가 제시한 리스트를 바탕으로 우리는 검증배경지식 제공이라는 두 가지 작업을 진행합니다.

  1. 교차 검증 (Refine):
  2. 다른 AI 챗봇이나 새로운 대화창에 같은 리스트를 보여주며 물어봅니다. "이 리스트에서 빠진 중요한 기능이 있을까?" 이렇게 하면 요구사항의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배경지식 제시 (Define Persona):
  4. 이제 AI에게 당신의 상황과 수준을 명확하게 알려줘야 합니다. AI는 사용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답변의 깊이와 기술 스택을 결정합니다.

💡 프롬프트 예시 2: 페르소나 및 배경지식 제시

"나는 개발 지식이 전무한 비개발자야.

내가 생각한 영화 예매 사이트의 기능 목록은 다음과 같아. (앞서 정리한 리스트 삽입)

이 사이트를 가장 빠르고 쉽게 프로토타입으로 만들고 싶은데, 개발 언어와 필요한 기술 스택비개발자의 학습 난이도를 고려해서 3가지 옵션으로 추천해줄 수 있어?"

 

핵심은 최대한 상세하고 세세하게 자신의 상황을 나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AI가 딴 길로 안 빠집니다.


흥미와 관심을 위한 '최소 노력 기술 스택' 추천

AI가 보통 Next.js나 Python을 추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개발자라면 지금은 무슨 소리인지 하나도 모르시겠지만, 흥미와 관심을 갖고 일단 결과물을 찍어내는 것이 목적이라면 다음과 같은 최소한의 기술 스택(Tech Stack)을 추천합니다.

1. 웹사이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것들

단순한 프로토타입이 아닌 실제 사이트를 개발하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합니다.

  • 클라우드 서버 (어디에 올려서 서비스할지)
  • 개발 언어프레임워크 (어떤 도구로 만들지)
  • DB 종류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할지)
  • 프론트엔드/백엔드 분리 여부 (화면과 데이터 처리를 나눌지)
  • 디자인 툴 (화면을 어떻게 그릴지)

이 외에도 IDE, 형상관리, api, 인증절차 등 많은 것이 있지만, 우선 이 요소들 중 어떤 종류를 고르냐에 따라 나중에 프로젝트의 방향이 전혀 달라집니다.

2. 비개발자를 위한 초고속 프로토타입 스택

저희의 목표는 일단 찍어내고 흥미와 관심을 갖는 것입니다.

단계 도구 (Tool) 역할 비고
디자인/기획 Lovable (또는 다른 디자인 툴) 사이트의 화면을 빠르게 스케치 AI 코딩 전, 화면 구조를 명확히 함
코딩 Cursor AI AI 기반으로 코드 작성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줌
프론트엔드 Next.js 웹사이트의 화면(Front) 개발 빠르고 효율적인 웹페이지 구축
백엔드 (선택) Node.js 또는 Flask 데이터 처리 및 기능 구현 나중에 필요한 기능만 붙이기 용이
배포 (클라우드) Vercel 서버 없이 웹사이트를 외부에 공개 복잡한 클라우드 설정을 몰라도 됨

 

뭔 소린지 하나도 모르시겠나요? 걱정 마세요. 하다 보면 이해가 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