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DE/CodeKnowledge38

[서버] 디비와 서버 :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분리와 통신 최적화 저는 늘 궁금했습니다..! 일하다보면 늘 서버 접속정보와 디비 접속정보의 아이피가 다르거나, 같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저는 이 원리가 너무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조사하면서 알게된 것들을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웹 서버(Server)와 데이터베이스(DB)가 동일한 환경(같은 IP)에서 동작 만약에 서버 아이피와 데이터베이스 연결 아이피가 모두 같다면 어떨까요? 이것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의 환경에서 여러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우를 '모노리식 구조'라고도 부릅니다. 초기 설정이나 관리가 간단한 편이지만, 확장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웹 서버(Server)와 데이터베이스(DB)가 분리 두 서버는 각각 다른 물리적 혹은 가상의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 2023. 10. 31.
[AWS] aws에서 람다는 무엇일까 오늘 팀장님께서 aws 람다를 아냐고 하셔서..모른다고 하며 열심히 하겠다고 했으니 끄적여봅니다! AWS Lambda는 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AWS Lambda는 서버리스 컴퓨팅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개발자가 코드를 실행하고 스케일링과 관리를 AWS에 맡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AWS Lambda의 주요 특징과 사용 사례 이벤트 기반 실행: AWS Lambda 함수는 특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실행됩니다. 예를 들어, 파일이 S3 버킷에 업로드되면 Lambda 함수가 해당 파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AWS 서비스 및 사용자 정의 이벤트 소스에서 Lambda 함수를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서버리스 아키텍처: AWS Lamb.. 2023. 10. 11.
[아키텍처] 웹훅(Webhook)이란 무엇일까 웹훅(Webhook)은 한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예를 들면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될 때, 사전에 정의된 URL로 HTTP POST 요청을 보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간단한 예로, 깃허브(GitHub)에서는 특정 리포지토리에 커밋이나 풀 리퀘스트가 발생할 때 웹훅을 설정하여 그 정보를 다른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웹훅을 활용하면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자동화 및 통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웹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시간성: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 2023. 10. 5.
Oracle 설치 2 아까 설치해둔 두가지 중에 developer 파일을 누릅니다. sqldeveloper.exe를 눌러 실행합니다. 이게 실행이 됩니다. 그러고 좌측 상단에 +표시를 클릭합니다. 저희는 지금 처음하는 거니까 새로 만들어줘야 해서요 이런 창이 뜰겁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에 아까 만들어둔 hr계정을 이용합니다. name은 아무거나 지으셔도 될 거 같네요 저는 oracle-hr이라고 지었습니다. 테스트를 눌러 상태에 성공이라는 메세지가 뜨면 잘 된 겁니다! 그리고 접속을 누릅니다. 좌측에 oracle-hr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sql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2023. 10. 3.
Oracle 설치 1 웬만하면 oracle은 버전 11을 많이 쓰니까 오라클 홈페이지 들어가서 매번 다운받기 보단 클라우드에 미리 저장해놓고 설치할 때마다 저는 불러옵니다 그게 편하니까여.. 😊 oracle.com에 들어가셔서 다운받으세요! 첨부하려고 했는데 첨부가 안되네요.. 용량이 넘 크다고 zip파일들을 미리 다운받아서 oracleXE112부터 설치를 합니다. DISK1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폴더들이 있습니다. setup.exe를 눌러 설치를 계속 진행합니다. 별다르게 바꿀 것은 없지만 중간에 아마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이런 식으로 뜨면 간단하지만 잊지 않을 수 있는 비밀번호로 등록을 해주세요 괜찮아요 까먹어도 다 지우고 다시 깔면 되니까요 귀찮아서 그렇지.. ㅎㅎ... 아무튼 설치를 하면 하나 셋팅.. 2023. 10. 2.
웹보안 공격 유형 소개: SQL Injection, XSS, CSRF, Command Injection 초보무지랭이에게 너무나도 필요한 웹보안 지식입니다.. 이번에 우연히 몇 가지 필수 웹보안 지식 키워드를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정리한 걸 블로그에 포스팅합니다! SQL Injection, XSS, CSRF, Command Injection 네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QL Injection - 설명: SQL Injection은 악의적인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폼 또는 URL 매개변수를 통해 SQL 쿼리를 주입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얻거나 데이터를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은 입력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Username: admin' OR '1'='1 Password: passwo.. 2023.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