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 L3, L4, L7은 각각 네트워킹 계층을 지칭하는 용어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설명하는 OSI 모델의 일부입니다. 이 용어들은 각 계층이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해 주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계층을 비유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L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L2는 마치 우리가 사는 아파트 단지와 같습니다. 아파트 단지 내에서는 모든 사람이 정확한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하고, 각 집의 주소를 통해 편지나 소포를 정확히 배달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킹에서는 이 주소가 MAC 주소입니다. L2에서는 이러한 MAC 주소를 사용하여 같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끼리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L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L3는 도시의 우체국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도시의 우체국은 여러 아파트 단지(여러 로컬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편지를 올바른 단지로 전달합니다. 네트워킹에서는 이 계층이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낼 최종 목적지까지 라우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바로 이 계층에서 활동하며,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경로로 인도하는 우체국 직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L4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L4는 우체국 직원이 편지를 배달할 때 사용하는 우체통이나 배달 목록과 같습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까지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합니다. TCP/UDP 프로토콜이 이계층에서 작동하며, 예를 들어 TCP는 데이터의 순서를 정확하게 맞추고 손실된 데이터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L7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L7은 마지막으로 도착한 편지를 실제로 읽는 사람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이 계층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보여주거나, 이메일을 전송하는 것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수준에서의 작업을 담당합니다. HTTP, FTP, SMTP 같은 프로토콜이 이 계층에서 활동합니다.
'CODE > Code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환경에서의 오토스케일링과 헬스체크: 문제와 해결 방안 (0) | 2024.05.19 |
---|---|
네트워크 PDU(Protocol Data Unit)은 무엇일까? (0) | 2024.05.12 |
HAVING vs WHERE (0) | 2024.03.25 |
NAS vs CDN (1) | 2024.02.12 |
[java] jdk와 jvm (0) | 2024.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