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베이스에 대해 찾아보면 주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많이 나옵니다. 웹도 가뭄의 콩 나듯 나오긴 하는데 대부분 프론트 위주로 나오고요. 스프링 관련 한국어 자료는 거의 전멸 수준...
❓그런데 왜 파이어베이스를 선택했을까
도전정신을 발휘했다는 농담이고 안드로이드 앱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려고 선택했습니다....😭(왜...왜그랬어)
✔파이어베이스란
✨들어가기 앞서서 파이어베이스는 무엇이고 왜 백엔드 자료가 별로 없을까?
https://www.youtube.com/watch?v=cQimgQdTpeQ&t=46s
✨ 간단하게 정리하면
파이어베이스 자체에서 백엔드 기능을 전부 제공해주기 때문에 복잡하게 백엔드 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없어서 매우 빠른 진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딱 테스트용까지 괜찮은 거고 큰 규모의 사이트를 진행할 때에는 적합하지 않다. 백엔드 기능이 파이어베이스에 묶여 있어서 회원관리나 이런 것들이 세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프링부트를 사용해 백엔드 작업을 해보았다 ❗❗
진행 순서는 파이어베이스와 스프링부트 연결, 뷰페이지에서 데이터 집어넣고 빼기 크게 두 파트로 나눠 진행할 생각입니다. 물론 제가 한 방법이 제일 효율적인 방법이 아닐 수 있습니다.
✔들어가기 앞서 이 웹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한 기술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pring Boot, Thymeleaf, JQuery & Ajax, FireBase
✔사족이 좀 많을 수 있는데 그건 회색글씨로 처리하겠습니다 빼고 읽으세요 😊
자 이제 시작해보겠습니다
part 1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파이어베이스를 연동
https://www.youtube.com/watch?v=Fi2dv6NcHWA
여기에 아주 친절하게 설명이 잘 나와있긴 하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설명을 캡쳐로 보여드릴게요.
그래도 한 번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영어공부가 됩니다.
파이어베이스에서 프로젝트를 웹으로 생성하는 건 다른 블로그에도 아주 친절하게 나와있으니 생략하겠습니다!
①키 생성을 하셔서 json파일을 받아주세요
②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본인에게 필요한 dependency를 추가해 생성해주세요
생성 후 pom.xml에 아래의 firebase dependency를 추가해주세요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google.firebase/firebase-admin --> <dependency> <groupId>com.google.firebase</groupId> <artifactId>firebase-admin</artifactId> <version>7.3.0</version> </dependency> |
③아까 받은 json파일을 프로젝트에 넣어주세요
여기까지 하셨으면 이제 셋팅은 거의 다하셨다고 보면 됩니다.
더 이어쓸까 하다가 여기서 일단 자르고 다음에 파이어스토어와 통신하는 걸 해보겠습니다.
'CODE > Code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관리자 페이지 만들기 1 (0) | 2023.07.11 |
---|---|
파이어베이스와 스프링부트를 이용하여 웹사이트 만들기 ② (0) | 2023.07.09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이클립스 스프링 기본 세팅 및 설치-2 (0) | 2023.07.07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이클립스 스프링 기본 세팅 및 설치-1 (0) | 2023.07.06 |
[DB]프로시저 vs 함수 (0) | 2023.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