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DE/CodeKnowledge

[아키텍처] 웹훅(Webhook)이란 무엇일까

by 솔리닉__ 2023. 10. 5.
반응형

웹훅(Webhook)은 한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예를 들면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될 때, 사전에 정의된 URL로 HTTP POST 요청을 보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간단한 예로, 깃허브(GitHub)에서는 특정 리포지토리에 커밋이나 풀 리퀘스트가 발생할 때 웹훅을 설정하여 그 정보를 다른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웹훅을 활용하면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자동화 및 통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웹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시간성: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정보를 전달하므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데 적합합니다.

 

효율성: 주기적으로 데이터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폴링(polling) 방식에 비해, 웹훅은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웹훅의 이벤트 유형, 전송 데이터 포맷, 전송 대상 URL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웹훅을 사용하려면 대부분의 서비스나 플랫폼에서 사전에 웹훅 설정 및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웹훅을 구성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